연금저축이란?
연금저축은 개인이 자발적으로 가입하여 노후를 대비할 수 있는 장기 투자성 연금 상품입니다. 대표적으로 연금저축보험, 연금저축신탁, 연금저축펀드 형태가 있으며, 최소 5년 이상 납입 후 만 55세부터 연금 형태로 수령할 수 있습니다.
IRP란?
IRP(Individual Retirement Pension, 개인형퇴직연금)은 퇴직금 또는 개인 자금을 적립하여 노후 자산을 관리하는 계좌입니다. 직장인뿐만 아니라 프리랜서, 자영업자도 가입할 수 있으며, 연금저축과 마찬가지로 만 55세 이후 연금 수령이 가능합니다.
연금저축 vs IRP 차이점
항목 | 연금저축 | IRP |
---|---|---|
가입 대상 | 만 19세 이상 누구나 | 근로자, 자영업자, 공무원 등 |
연간 납입한도 | 1,800만 원 | 1,800만 원 (퇴직금 포함 시 별도) |
세액공제 한도 | 400만 원 (총급여 1.2억 이하 시 600만 원) | 700만 원 (연금저축 포함 시 최대 700만 원) |
중도인출 가능성 | 불가 | 퇴직금 이외의 금액은 일부 인출 가능 |
의무 수령 개시 나이 | 만 55세 | 만 55세 |
세액공제 혜택 비교
두 상품 모두 연말정산에서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연금저축과 IRP를 함께 가입하면 최대 700만 원까지 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공제율은 총급여와 나이에 따라 13.2% ~ 16.5%입니다.
예시: 총급여 5,500만 원 이하, 700만 원 납입 시 최대 115,500원의 세액공제 가능
어떤 상품이 나에게 유리할까?
- 세액공제를 극대화하고 싶은 직장인: 연금저축 + IRP 병행
- 자금 유동성이 필요 없는 사람: IRP에 집중
- 운용 자유도가 높은 상품을 원하는 경우: 연금저축펀드
연금저축과 IRP는 선택이 아닌 병행이 답일 수 있습니다. 목적과 상황에 따라 전략적으로 활용해보세요.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세청 홈택스 이용방법 총정리 | 로그인부터 세금 신고까지 (0) | 2025.03.28 |
---|---|
2025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총정리 - 홈택스 전자신고 안내 (0) | 2025.03.28 |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이용방법 | 홈택스 사용법 완벽정리 (0) | 2025.03.28 |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기준 및 절세 방법 (0) | 2025.03.28 |
금융소득 조회 방법 완벽 정리 | 종합소득세 신고 전 필독! (0)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