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

2025 실업급여 금액 기준과 계산 방법 총정리

by 처음이요 2025. 4. 1.

실업급여란?

 

 

실업급여는 고용보험에 가입한 근로자가 비자발적으로 실직했을 경우, 구직활동을 지원하고 생계를 보조하기 위해 지급되는 급여입니다. 실업급여는 기본적으로 구직급여취업촉진수당으로 구성됩니다.

2025년 실업급여 금액 기준

 

 

2025년 실업급여는 퇴직 직전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계산되며, 일일 지급액의 하한선과 상한선이 정해져 있습니다.

  • 최대 금액 (상한액): 1일 77,000원
  • 최소 금액 (하한액): 1일 77,440원 × 60%

※ 위 금액은 고용노동부에서 매년 고시하는 최저임금 및 평균임금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 계산 방법

 

 

실업급여는 다음의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실업급여 일액 = 이직 전 평균임금 × 60%

계산된 금액이 상한액을 초과할 경우, 상한액으로 조정되며, 하한액보다 작을 경우 하한액이 적용됩니다.

예시:
월 평균 임금이 300만원인 경우 → 일평균 임금 약 100,000원
→ 실업급여 일액 = 100,000 × 60% = 60,000원

실업급여 수급 기간

 

 

수급 기간은 연령과 고용보험 가입 기간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최소 120일에서 최대 270일까지 지급됩니다.

가입 기간 30세 미만 30~49세 50세 이상 또는 장애인
1년 이상~3년 미만 120일 150일 180일
3년 이상~5년 미만 150일 180일 210일
5년 이상 180일 210일 240~270일

실업급여 신청 방법

 

 

  1. 퇴직 후 14일 이내 워크넷에 구직 등록
  2. 고용센터 방문 및 수급자격 인정 신청
  3. 수급 교육 이수 후 실업 인정일마다 구직활동 보고

지급은 실업 인정일 기준으로 2~5일 내 입금됩니다.

실업급여 관련 자주 묻는 질문

 

 

Q. 자진 퇴사한 경우에도 받을 수 있나요?

A. 원칙적으로 자진 퇴사자는 수급 자격이 없지만, 예외적으로 정당한 사유(임금체불, 괴롭힘 등)가 인정되면 수급 가능성이 있습니다.

Q. 단기 근무자도 받을 수 있나요?

A. 최소 180일 이상 고용보험에 가입된 이력이 있다면 단기근무자도 수급 가능합니다.